대한민국 독도, 세종에서 만나다!

세종 독도체험관 학습지 초등 정답

  • 관리자
  • 작성일2024.02.16
  • 조회수716

1. 독도의 위치
  독도는 대한민국 동쪽 맨 끝에 있는 섬으로, 우리나라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이에요.

  가. 우리나라 지도에서 독도는 어디에 있나요?
    ① A   ② B   ③ C   ④ D   ⑤ E 
    정답 : ⑤ E

  나. 독도가 있는 바다의 이름은 무엇일까요?
    ① 서해   ② 남해   ③ 동해
    정답 : ③ 동해

  다. 독도에서 가장 가까운 섬은 "울릉도" 입니다. 
    정답 : 울릉도

  라. 독도는 울릉도에서 (   )를 타고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이동해야 갈 수 있어요.
     (   )안에 들어갈 교통편은 무엇일까요?
    ① 버스   ② 배   ③ 기차   ④ 비행기
    정답 : ② 배

2. 독도의 옛 이름
  독도의 옛 이름과 그 의미를 찾아 연결해보세요 

  가. 삼국시대 울릉도에 있었던 우산국이라는 나라이름에서 비롯된 이름이에요. 울릉도와 독도는 모두 우산국의 땅이었어요 - 우산도
  나. 독도가 바위섬이라는 것에서 비롯된 이름이에요. 바위를 뜻하는 한자 석(石), 섬을 뜻하는 한자 도(島)를 사용해서 지은 이름이에요. - 석도
  다. 돌섬인 독도를 사투리로 독섬이라고 불렀어요. 독(獨)은 '독섬'의 '독'과 같은 소리가 나는 한자를, 도(島)는 섬을 한자로 표현한 것이랍니다. - 독도

3. 독도의 지형 
  가. 동도와 서도를 포함한 크고 작은 바위섬들의 외곽(해안선)을 따라 그리며 독도의 모습을 익혀요. 
    정답 : 91개 (동도와 서도를 포함 크고 작은 바위섬)

  나. 독도의 면적 
    - 서도와 동도 중 어느 섬이 더 큰가요? 
    정답 : 서도

4. 독도의 다양한 생물

  가. 독도는 넓은 동해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철새들에게는 중간 기착지가 되고, 바다새들에게는 번식지가 됩니다. 서로 관련 있는이름, 설명, 사진을 연결해보세요.
    ① 상모솔새 - 몸길이 9cm, 체중 6g의 비교적 작은 새로, 해국의 수술을 뜯어내고 그 속에 숨은 곤충을 잡아먹어요. - 3번째 사진
    ② 바다제비 - 독도에서 번식하는 여름 철새로, 주로 밤에 활동하며 1개의 흰색알을 낳아요. 9-10월경이면 독도를 떠나요. - 2번째 사진
    ③ 매 - 눈이 크고 시력이 뛰어난 새예요.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며, 천연기념물 제323-7호로 지정되어 있어요. - 1번째 사진 
    ④ 괭이갈매기 - 매년 2월경 독도로 날아와 4월이 되면 번식에 들어가고, 알은 25일 정도 지나면 부화해요. 울음소리가 고양이 울음소리 같아요. - 4번째 사진 

  나. 독도의 해양생물의 그림과 설명을 보고, 알맞은 이름을 적어 넣으세요. 
    ① 뼈가 없는 연체동물로, 위기에 처하면 몸의 색깔을 바꾸거나 먹물을 내뿜습니다. 
        정답 : 오징어
    ② 낮은온도의 물에 잘 적응하는 어종으로, 몸은 가늘고 길며 주둥이가 뾰족합니다. 
        정답 : 꽁치
    ③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와 독도 바다에서만 군락지를 형성하고 있는 대형 해조류 입니다. 독도 바닷속에서 섬 전체를 둘러싸고 빽빽하게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. 
        정답 : 대황 

  다. 독도의 육상 식물 중에서 울릉도와 독도에서만 자라는 한반도 고유종이 아닌 것을 찾으세요.
    ① 섬기린초
    ② 섬괴불나무
    ③ 해국
    ④ 섬초롱꽃
    정답 : ③ 해국

5. 독도의 생성과 해저지형 
  <그림 설명>
  (독도 해저지형 그림) 독도는 밑바닥 지름이 약25~30km 정도인 독도 해산의 일부로 동도와 서도는 이 해산의 맨 꼭대기 부분이에요.
  (1) 수심 457m : 안용복 해산
  (2) 수심 146m : 심흥택 해산
  (3) 수심 136m : 이사부 해산
  ※ 독도 : 독도는 동도와 서도, 그리고 89개의 부속도서로 구성되어 있다. 동도와 서도는 원래 하나의 섬이었으나, 오랜 침식과 풍화작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. 
     자료출처 : 한국해양과학기술원(독도전문연구센터, 울릉도·독도해양연구기지)

  (울릉도·독도·제주도 형성 시기에 대한 그림) 

  울릉도·독도·제주도 형성 시기
    - 울릉도 : 약250만 ~ 1만 년 전
    - 독   도 : 약460만 ~ 250만 년 전
    - 제주도 : 약 120만 ~ 1만 년 전
    - 독도는 약 460만 년 전부터 250만 년 사이에 해저 약 2,000m에서 용암이 솟아올라 형성된 화산섬이에요.

  가. 다음의 우리나라 화산섬 중에서 만들어진 시기가 가장 오래된 지형은?
    ① 독도   ② 제주도   ③ 울릉도
      정답 :  ① 독도

  나. 울릉도와 독도를 지킨 인물들을 떠올리며, 독도 주변 해산의 이름을 적어보세요.
    (1) 조선 백성 (     ), 울릉도와 독도를 지키다. 
        정답 : 안용복
    (2) 울릉군수 (     ), 독도가 우리 땅임을 분명히 하다.
        정답 : 심흥택
    (3) 신라 장군 (     ), 우산국을 신라에 복속 시키다.
        정답 : 이사부 

*해산 : 깊은 바닷속에서 주변 해저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솟아 있는 지형